브리스톨 대학교

덤프버전 : (♥ 0)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쉴드.png
브리스톨 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러셀 그룹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소속 대학
1096년1209년1451년1583년1826년1829년
ta-hash-start=w-1b501d9804715c06f5d17abc0a8639ad[[파일:옥스퍼드 대학교 문장.svgta-hash-start=w-f6d49f4d032763d60265b1aa50cf537e[[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문장.svgta-hash-start=w-69df8470215f8a1564226e111f96a9db[[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Glasgow.svg.pngta-hash-start=w-0fc857ff172e6a0363604e8bdcf86ee4[[파일:에든버러 대학교 문장_shield.pngta-hash-start=w-d35d0af0d2a70c049bbedcb88e25ef28[[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문장.svgta-hash-start=w-d18f655c3fce66ca401d5f38b48c89af[[파일:493px-Shield_of_King's_College_London.svg.png
옥스퍼드
University of Oxford
케임브리지
University of Cambridge
글래스고
Oilthigh Ghlaschu
에든버러
Oilthigh Dhùn Èideann
유니버시티 칼리지
University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London
1832년1883년1887년1895년1900년1903년
ta-hash-start=w-907754d41576d1e307241bcfe54a19ab[[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urham_shield.pngta-hash-start=w-40f8fe0586f0dc60ebe13b3a942a9724[[파일:8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Cardiff.svg.pngta-hash-start=w-31929d25d1c8e249e562153efe1dc65b[[파일:Queen_Mary,_University_of_London_Crest-2.pngta-hash-start=w-e98741479a7b998f88b8f8c9f0b6b6f1[[파일:런던 정치경제대학교 Shield_배경제거.pngta-hash-start=w-3ac1fc4ea518c8f25ef3366bf240395a[[파일:8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Birmingham.svg.pngta-hash-start=w-b359c06abd8c84e1a224a96ca47af8b9[[파일:421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iverpool.svg.png
더럼
Durham University
카디프
Prifysgol Caerdydd
퀸 메리
Queen Mary
런던 정경대
London School of Economics
버밍엄
University of Birmingham
리버풀
University of Liverpool
1904년1905년1907년1908년1909년1948년
ta-hash-start=w-fc3d77decb36cb14c2b339bb4cc9131e[[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eeds.svg.pngta-hash-start=w-0247f3dd84906223785fddb18353bafe[[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heffield.svg.pngta-hash-start=w-d80c2e64d4eaec667e3a3e05d935fe8c[[파일:1200px-Shield_of_Imperial_College_London.svg.pngta-hash-start=w-c6ae9174774e254650073722e5b92a8f[[파일:701px-Queen's_University_Belfast_arms.svg.pngta-hash-start=w-480af385c4ccec6d0580b4dcc7dad45a[[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쉴드.pngta-hash-start=w-25b5a08b1519d1e8f6bd3aeb4c890827[[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ottingham.svg.png
리즈
University of Leeds
셰필드
University of Sheffield
임페리얼 칼리지
Imperial College London
벨파스트
Ollscoil na Banríona
브리스톨
University of Bristol
노팅엄
University of Nottingham
1952년1955년1963년1963년1965년2004년
ta-hash-start=w-6a70f623a594d32f41f410047a0450ce[[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outhampton.svg.pngta-hash-start=w-08808cfb5939be387af3c159b83c6b98[[파일:800px-University_of_Exeter_Crest.svg.pngta-hash-start=w-db44eb3ee4900a08b21e9f2ff8b74b12[[파일:요크 대학교 Shield_배경제거.pngta-hash-start=w-4f84a95e8ca56263b409972d9d158c3e[[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ewcastle.svg.pngta-hash-start=w-5ef698cd9fe650923ea331c15af3b160[[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Warwick.svg.pngta-hash-start=w-164b811686cfc4fda9bc8195c1d2c382[[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사우스햄튼
University of Southampton
엑시터
University of Exeter
요크
University of York
뉴캐슬
Newcastle University
워릭
University of Warwick
맨체스터
University of Manchester


파일:CoimbraGroup.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레이던 대학교 문장.png 레이던 대학교 · 파일:위트레흐트 대학교 로고.png 위트레흐트 대학교 · 파일:흐로닝언 대학교 아이콘.png 흐로닝언 대학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베르겐 대학교 엠블럼.png 베르겐 대학교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오르후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오르후스 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괴팅겐 대학교 아이콘.png 괴팅겐 대학교 · 파일:뷔르츠부르크 대학교 문장.svg.png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 파일:440px-Uni-Jena-logo.svg.png 예나 대학교 · 파일:UniKoeln.png 쾰른 대학교 · 파일: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아이콘.png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로고.svg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우크라전 지지로 회원권 정지)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파일: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대학교 문장.jpg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대학교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빌뉴스 대학교 로고.png 빌뉴스 대학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뢰번 가톨릭 대학교_KU Leuven 문장.png파일:1200px-KU_Leuven_logo.svg.png 뢰번 가톨릭 대학교 · 파일:루뱅 가톨릭 대학교_UCLouvain 문장.png파일:루뱅 가톨릭 대학교 로고.svg.png 루뱅 가톨릭 대학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웁살라대학교 로고.svg 웁살라 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제네바 대학교 아이콘.png 제네바 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그라나다 대학교 문장.png그라나다 대학교 · 파일:바르셀로나 대학교 아이콘.png 바르셀로나 대학교 · 파일:살라망카 대학교 문장.svg.png 살라망카 대학교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골웨이 국립대학교 문장.jpg파일:아일랜드 골웨이 국립대학교 로고.jpg 아일랜드 골웨이 국립대학교 · 파일: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이콘.png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타르투 대학교 문장.png 타르투 대학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더럼 대학교 Palatinate 쉴드 아이콘.png 더럼 대학교 ·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브리스톨 대학교 ·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에든버러 대학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그라츠 대학교 문장.png 그라츠 대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external/www.cs.unibo.it/logo.gif 볼로냐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Siena.png 시에나 대학교 · 파일:파도바 대학교 문장.svg.png 파도바 대학교 · 파일:파비아 대학교 문장.svg.png 파비아 대학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프라하 카렐 대학교 문장_배경제거.png 카를로바 대학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파일:이스탄불 대학교 엠블럼.svg.png 이스탄불 대학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코임브라 대학교 문장.png 코임브라 대학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파일:야기엘론스키 대학교(JU) 원형 아이콘.png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몽펠리에 대학교 엠블럼.svg.png 몽펠리에 대학교 · 파일:폴 발레리 몽펠리에 3 대학교 로고.jpg 폴 발레리 몽펠리에 제3대학교 · 파일:푸아티에 대학교 로고.png 푸아티에 대학교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아보 아카데미 대학교 문장.svg.png 아보 아카데미 대학교 · 파일:투르쿠 대학교 로고.svg.png 투르쿠 대학교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파일:ELTE_logo.png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파일:wun.jpg
월드와이드 대학 네트워크 소속 대학
World Universities Network
[ 펼치기 · 접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브리스톨 대학교
사우스햄튼 대학교
요크 대학교
리즈 대학교
셰필드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애머스트 칼리지
로체스터 대학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마스트리흐트 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로잔 대학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오클랜드 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앨버타 대학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베르겐 대학교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특별행정구홍콩중문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저장대학
중국인민대학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국립성공대학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몬테레이 공과대학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미나스제라이스 대학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케이프타운 대학교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가나 대학교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마케레레 대학교



파일:Great Western 4 로고.png
Great Western 4 Alliance
The Research Consortium
Of the Four Universities in South West England
||



파일:Web-colour-asset-1yss1pf.png
INITIATE : 미래 인터넷 연구 컨소시엄
Interconnecting the leading future internet research testbeds
across the UK
||

파일:UKARC로고.png
UKARC : 영국 항공우주 연구 콘소시엄
The UK’s top university aerospace research capabilities
||



파일:CDIO 로고.png
The CDIO™ INITIATIVE
CDIO 공학교육 도입 대학
||
[ 아시아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동아시아|{{{#fff 동아시아}}}]]''' || ||<width=1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fff 대한민국}}}]] || [[인제대학교]]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fff 대만}}}]] ||<colcolor=#000,#fff> [[펑챠대학]]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몽골|{{{#fff 몽골}}}]] || [[공학기술원]]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fff 일본}}}]] || [[가나자와공업대학]] · [[가나자와국제고부]] · [[구마모토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노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센다이공업고등전문학교]] · [[쓰루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아난공업고등전문학교]] · [[이바라키공업고등전문학교]] · [[츠야마공업고등전문학교]] · [[키사라즈공업고등전문학교]] · [[홋카이도정보대학]]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fff 중국}}}]] || [[다롄동연신식학원]] · [[베이징교통대학]] · [[베이징석유화공학원]] · [[산토우대학]] · [[쑤저우 공업원구 전문대학]] · [[얀샨대학]] · [[전자과학대학]] · [[청두신식공정대학]] · [[칭화대학]] || ||<-2> '''[[동남아시아|{{{#fff 동남아시아}}}]]'''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0]] [[말레이시아|{{{#fff 말레이시아}}}]] || [[마라 공과대학교]] · [[웅쿠 오마르 폴리테크닉 대학교]] · [[이브라힘 술탄 폴리테크닉 대학교]] · [[테일러스 대학교]]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베트남|{{{#fff 베트남}}}]] || [[FPT 대학교]] · [[국립토목공학대학]] · [[달랏 대학교]] · [[동나이 공과대학교]] · [[두이탄 대학교]] · [[베트남국립대학]] · [[빈 대학교(베트남)]] · [[투다우못 대학교]] · [[트라빈 대학교]] ||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싱가포르|{{{#fff 싱가포르}}}]] || [[난양이공학원]] · [[싱가포르 이공학원]]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태국|{{{#fff 태국}}}]] || [[이산 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탄부리 대학교]]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fff 필리핀}}}]] || [[남필리핀 과학기술대학교/카가얀데오로 캠퍼스]] · [[불라칸 주립대학교]] || ||<-2> '''[[남아시아|{{{#fff 남아시아}}}]]'''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fff 인도}}}]] || [[SRM 과학기술원]] · [[벨텍 공과대학교]] · [[사티야바마 과학기술원]] · [[티야가라자르 공과대학]] || ||<-2> '''[[서아시아|{{{#fff 서아시아}}}]]''' ||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0]] [[아제르바이잔|{{{#fff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공과대학교]]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0]] [[이스라엘|{{{#fff 이스라엘}}}]] || [[이스라엘 창의진흥원]] · [[텔아비브 공과대학]] ||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20]] [[쿠웨이트|{{{#fff 쿠웨이트}}}]] || [[쿠웨이트 호주대학]] ||

[ 유럽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서유럽|{{{#fff 서유럽}}}]]''' || ||<width=12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네덜란드|{{{#fff 네덜란드}}}]] ||<colcolor=#000,#fff> [[델프트 공과대학교]] · [[바헤닝언 대학교]] ·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 [[트웬터 대학교]] · [[헤이그 응용과학대학교]]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벨기에|{{{#fff 벨기에}}}]] || [[겐트 대학교]] · [[뢰번 국제 유니버시티 칼리지]] ||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0]] [[아일랜드|{{{#fff 아일랜드}}}]] || [[리머릭 대학교]] · [[사우스이스턴 리저널 칼리지]]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fff 영국}}}]] ||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 · [[랭커스터 대학교]] · [[레스터 대학교]] · [[리버풀 대학교]] · [[리즈 대학교]] · [[버밍엄 시립대학교]] · [[브리스톨 대학교]] · [[사우스 웨스트 칼리지]] ·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교]] · [[애스턴 대학교]] · [[얼스터 대학교]] · [[치체스터 대학교]] · [[캔터베리 크라이스트 처치 대학교]] ·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 [[하트퍼드셔 대학교]]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fff 프랑스}}}]] || [[CESI 공학대학원]] · [[IMT 아틀란티크]] · [[파리 국립고등기술공예학교]] || ||<-2> '''[[중부유럽|{{{#fff 중부유럽}}}]]'''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fff 독일}}}]] ||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 공과대학교]] · [[비스마르 응용과학대학교]] · [[에른스트-아베 응용과학대학교]]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폴란드|{{{#fff 폴란드}}}]] ||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 ||<-2> '''[[남유럽|{{{#fff 남유럽}}}]]'''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스페인|{{{#fff 스페인}}}]] || [[나바라 대학교]] · [[카탈루냐 폴리테크닉 대학교]] · [[화학공학 고등기술학교]]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이탈리아|{{{#fff 이탈리아}}}]] || [[밀라노 폴리테크닉 대학교]]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포르투갈|{{{#fff 포르투갈}}}]] || [[포르투 고등공학원]] || ||<-2> '''[[북유럽|{{{#fff 북유럽}}}]]'''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0]] [[노르웨이|{{{#fff 노르웨이}}}]] ||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 [[외스트폴 유니버시티 칼리지]] ||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덴마크|{{{#fff 덴마크}}}]] || [[VIA 유니버시티 칼리지]] · [[오르후스 대학교]] · [[올보르 대학교]] ||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0]] [[리투아니아|{{{#fff 리투아니아}}}]] || [[빌뉴스 응용과학대학교]]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스웨덴|{{{#fff 스웨덴}}}]] || [[룰레오 공과대학교]] · [[린네 대학교]] · [[린셰핑#s-5|린셰핑 대학교]] · [[블레킹에 공과대학교]] · [[샬메스 공과대학교]] · [[서부대학교]] · [[셰브데 대학교]] · [[옌셰핑 대학교]] · [[왕립 공과대학교]] · [[우메오 대학교]] · [[크리스티안스타드 대학교]] ||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20]] [[아이슬란드|{{{#fff 아이슬란드}}}]] || [[레이캬비크 대학교]] ||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0]] [[에스토니아|{{{#fff 에스토니아}}}]] || [[탈린 공과대학교]]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 [[핀란드|{{{#fff 핀란드}}}]] || [[LAB 응용과학대학교]] · [[노비아 응용과학대학교]] · [[라플란드 응용과학대학교]] · [[메트로폴리아 응용과학대학교]] · [[사보니아 응용과학대학교]] · [[세이네요키 응용과학대학교]] · [[탐페레 응용과학대학교]] · [[투르쿠 대학교]] || ||<-2> '''[[동유럽|{{{#fff 동유럽}}}]]'''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러시아|{{{#fff 러시아}}}]] || [[돈 국립공과대학교]] · [[모스크바 공학물리연구원 국립원자력대학교]] · [[모스크바 물리기술원]] · [[모스크바 국립항공대학교]] ·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공과대학교]] · [[북동연방대학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항공기기대학교]] · [[수르구트 국립대학교]] · [[스콜코보 과학기술원]] · [[시베리아 연방대학교]] · [[아스트라한 국립대학교]] · [[오룔 국립대학교]] · [[우랄 국립철도운송대학교]] · [[우랄 연방대학교]] · [[체레포베츠 국립대학교]] · [[카잔 연방대학교]] · [[쿠반 국립공과대학교]] ||

[ 아메리카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메리카|{{{#fff 북아메리카}}}]]''' || ||<width=12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fff 미국}}}]] ||<colcolor=#000,#fff> [[노터데임 대학교]] · [[듀크 대학교]] · [[하버드 대학교|랍사우 {{{-2 (하버드 대학교 산하)}}}]] · [[스탠퍼드 대학교]]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미국해군사관학교]] · [[미시간 대학교]] · [[아칸소 대학교]] ·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 [[엠브리-리들 항공대학교]]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노스리지 캠퍼스]] · [[콜로라도 대학교/볼더 캠퍼스]] ·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 [[해군대학원대학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fff 캐나다}}}]] || [[매니토바 대학교]] · [[몬트리올 공과대학교]] · [[셰리든 대학교]] · [[캘거리 대학교]] · [[퀸스 대학교(캐나다)|퀸스 대학교]] || ||<-2> '''[[중앙아메리카|{{{#fff 중앙아메리카}}}]]''' ||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20]] [[온두라스|{{{#fff 온두라스}}}]] || [[UNITECH]] || ||<-2> '''[[남아메리카|{{{#fff 남아메리카}}}]]'''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fff 브라질}}}]] || [[국립통신원]] · [[군사공학원]] · [[그란지 도라도스 연방대학교]] · [[로레나 공과대학]] · [[발레 도 타쿠아리 대학교]] · [[산타마리아 연방대학교]] · [[상파울루 살레시아 대학교]] · [[상호세도스캄포스 기술대학]] · [[줄리오 제 메스키타 필리오 주립대학교]] · [[톨레도 아라사투바 대학교]] · [[파라 주립대학교]]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0]] [[칠레|{{{#fff 칠레}}}]] || [[로스 라고스 대학교]] · [[산티아고 데 칠레 대학교]] · [[칠레 공과대학교]] · [[칠레 대학교]] · [[콘셉시온 가톨릭대학교]] ||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0]] [[콜롬비아|{{{#fff 콜롬비아}}}]] || [[ICESI 대학교]] · [[교황청립 자베리아나 대학교]] · [[산토 토마스 대학교]] · [[안티오키아 공과대학]] · [[카리브 자치대학교]] · [[콜롬비아 국립대학교]] · [[킨디오 대학교]] ||

[ 아프리카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프리카|{{{#fff 북아프리카}}}]]''' || ||<width=120>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0]] [[튀니지|{{{#fff 튀니지}}}]] ||<colcolor=#000,#fff> [[ESPRIT]] || ||<-2> '''[[남아프리카|{{{#fff 남아프리카}}}]]'''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0]] [[남아프리카 공화국|{{{#fff 남아프리카 공화국}}}]] || [[요하네스버그 대학교]] · [[프리토리아 대학교]] ||

[ 오세아니아 ]

-1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오스트랄라시아|{{{#fff 오스트랄라시아}}}]]''' || ||<width=12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fff 뉴질랜드}}}]] ||<colcolor=#000,#fff> [[오클랜드 대학교]]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fff 호주}}}]] ||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시드니 대학교]] · [[치숄름 인스티튜트]]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University of Bristol
브리스톨 대학교
Universitas Bristolliensis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문장.png

대학 정보
모토라틴어Vim Promovet Insitam[1]
영어Promotes One's Innate Power
한국어타고난 힘을 키우다
국가
파일:영국 국기.svg

분류공립대학
역사설립1595년: 무역 상인 기술 학교
<white,#1f2023>1833년: 브리스톨 의과대학
<white,#1f2023>1876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브리스톨
개교<white,#1f2023>1909년: 왕실 헌장 (115주년)
소재지잉글랜드, 브리스톨
(Bristol BS8 1TH, United Kingdom)
재단규모7억 5,200만 파운드 (2021)
발전기금9,130만 파운드 (2020/21)
총장[2]폴 너스 경 OM CH FRS FMedSci
(Sir Paul Nurse)
부총장[3]에블린 웰치 MBE
(Evelyn Welch)
비지터[4]페니 모돈트
(Penny Mordaunt)
재학생총원27,375명 (2019/20)
학부20,035명 (2019/20)
대학원7,340명 (2019/20)
교색[5]
[ 펼치기 · 접기 ]
University Red (#B01C2E)

Stone (#BEB9A6)

White (#FFFFFF)

Black (#000000)

언어별 명칭
<white,#1f2023>
[ 펼치기 · 접기 ]

라틴어Universitas Bristoliensis
웨일스어Prifysgol Bryste
프랑스어Université de Bristol
독일어Universität Bristol
스페인어Universidad de Bristol
네덜란드어Universiteit van Bristol
이탈리아어Università di Bristol
폴란드어Uniwersytet Bristolski
아랍어جامعة برستل
일본어ブリストル大学
중국어布里斯托大学

링크
<white,#1f2023>
교표
파일:University_of_Bristol_logo_Transparent.png
위치
<white,#1f2023>


1. 개요
2. 상징
2.1. 문장
2.2. 로고
3. 통계
5. 캠퍼스
6. 학생 생활
6.1. 학생회
6.2. 기숙사
7. 관련 인물
7.3. 노벨상 수상자
8. 평가
8.1. 세계 대학평가
8.2. 영국 국내 대학평가
8.3. 엘리트주의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브리스톨대학교.jpg
브리스톨 대학교 소개 영상
[ 펼치기 · 접기 ]

Vim Promovet Insitam

타고난 힘을 키우다


브리스톨 대학교(University of Bristol)는 영국 잉글랜드 브리스톨에 위치해 있는 세계 최상위 명문 공립 종합대학이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땐 1552년부터 브리스톨 지역에서 독점적으로 무역을 하던 상인들의 자선 단체인 무역상인회가 1595년 초에 설립한 무역 상인 기술 학교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대학의 직접적인 전신은 1876년에 설립된 영국 최초의 남녀 공학 대학인 유니버시티 칼리지 브리스톨이고, 이후 1833년에 설립된 브리스톨 의과대학과 1893년에 합병한 다음 1909년 당시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로부터 공식적으로 인가를 받아 현재의 대학교가 되었다.

후술하겠지만 영국 내에서는 엘리트들의 대학교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또한 노벨상 수상자 13명을 배출한 전통적인 명문 대학으로서 학문적인 성향도 매우 강하다. 유럽의 상위 연구대학 리그인 코임브라 그룹의 영국 3개 대학[6]중 하나이고 영국 명문 대학 리그 러셀 그룹의 일원이며 공동연구단체인 세계 대학 네트워크의 회원이기도 하다.


2. 상징[편집]



2.1. 문장[편집]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문장.png
▲ 브리스톨 대학교의 문장
브리스톨 대학교의 문장은 잉글랜드를 나타내는 하얀 방패와 붉은 십자가가 있고, 십자가 안에는 5개의 상징이 있다. 상단의 태양은 윌즈 가문, 좌측의 돌고래는 콜스턴 가문, 우측의 말은 프라이 가문, 하단에는 배움의 책, 그리고 중앙에는 중세 시대의 무역 도시 브리스톨을 의미한다. 각 세 가문은 브리스톨 대학교 건립에 이바지한 가문들이며 방패 아래 두루마리에는 대학교의 모토가 쓰여 있다. 1909년에 제정됐다. 대학 웹사이트의 문장 관련 페이지 참고.


2.2. 로고[편집]


파일:University_of_Bristol_logo_Transparent.png
▲ 브리스톨 대학교의 로고
문장 오른쪽에 특유의 서체로 "University of BRISTOL"이라고 적혀 있다.


3. 통계[편집]


2021년 기준으로 성별로는 여학생이 약 55%, 남학생이 약 45%, 논바이너리 및 젠더퀴어 학생은 0%로 여학생 수가 많으며 인종별로는 백인이 약 72%, 흑인, 아시아인, 히스패닉인, 혼혈 등 非백인은 약 28%로 백인이 압도적으로 많다. 아래 자료는 2013년 기준이며 자세한 정보는 대학 웹사이트의 통계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분류남성여성합계
인문학·사회과학계3,4845,7379,221
이공계4,3982,2636,661
의학·약학계1,5832,7734,356
합계9,46510,77320,238
(99.99%)

분류백인非백인합계
인문학·사회과학계6,1813,0419,222
이공계4,9601,7036,663
의학·약학계3,3391,0184,357
합계14,4805,76220,242
(100%)


4. 학과 및 연구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브리스톨 대학교/학과 및 연구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캠퍼스[편집]


브리스톨 대학교 캠퍼스
[ 펼치기 · 접기 ]
파일:5bb1ff38210000e700c75ae9.jpg
파일:Screen-Shot-2019-09-03-at-13.06.09.png
파일:University of Bristol_Fry Building.jpg
파일:4061984672_505f802bfa_b.jpg
파일:University of Bristol_Geography Building.jpg
파일:goldney-hall-1-house.jpg
파일:Centre for Device Thermography and Reliability.jpg
파일:widen-640-noupsize.jpg
파일:chemistry-1_UoB.jpg


6. 학생 생활[편집]



6.1. 학생회[편집]


브리스톨 대학교 학생회는 1908년에 설립되어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학생회로 손꼽히며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버밍엄 대학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킹스 칼리지 런던과 함께 영국 학생회 연합의 창립 멤버 중 하나이다. 학생회관은 영국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학생 라디오 방송국인 버스트(BURST)와 학생신문 에피그램(Epigram)이 위치해 있다.

학생회는 신입생 파티 조직과 자원봉사와 같은 지역활동 조정, 오락이벤트와 동아리 조직 등을 맡는다. 대학원 학생회와 영국대학체육회 회원인 체육학생회도 별도로 존재한다. 뛰어난 운동선수에게 파란색의 스포팅 컬러[7]가 수여되는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차별성을 두고자 브리스톨 대학교의 걸출한 운동선수에게는 붉은색의 스포팅 컬러가 수여된다.


6.2. 기숙사[편집]


브리스톨 대학에는 총 16개의 기숙사와 1개의 학생호스텔, 다수의 학생기숙사가 있다. 이중 대학원생 기숙사는 총 4곳이다.


7. 관련 인물[편집]



7.1.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브리스톨 대학교/출신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2. 재직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브리스톨 대학교/재직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3. 노벨상 수상자[편집]


성명국적관계수상 내역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파일:캐나다 국기.svg

박사후연구원노벨화학상
네빌 프랜시스 모트 경
파일:영국 국기.svg

교수노벨물리학상
도로시 호지킨
파일:영국 국기.svg

총장노벨화학상
막스 델브뤼크
파일:미국 국기.svg

연구원노벨생리학·의학상
세실 프랭크 파월
파일:영국 국기.svg

교수노벨물리학상
앵거스 디턴
파일:영국 국기.svg

교수노벨경제학상
윈스턴 처칠 경
파일:영국 국기.svg

총장노벨문학상
윌리엄 램지 경
파일:영국 국기.svg

교수노벨화학상
장마리 귀스타브 르클레지오
파일:영국 국기.svg

학사 이수노벨문학상
폴 너스 경
파일:영국 국기.svg

부총장노벨생리학·의학상
폴 디랙
파일:영국 국기.svg

학사노벨물리학상
한스 베테
파일:미국 국기.svg

연구원노벨물리학상
해롤드 핀터
파일:영국 국기.svg

명예박사노벨문학상


8. 평가[편집]



8.1. 세계 대학평가[편집]


아래는 다양한 대학평가 기관들의 세계 대학 순위에서 브리스톨 대학교의 순위 변동을 나타낸 표이다. 가장 많이 인용되는 QS, ARWU, THE 기준 대체로 전 세계 약 1,000여개의 대학 중에서 30~90위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며 전반적으로 상위 100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2010년 QS 세계랭킹에서는 27위를 기록한 바 있다. 전통적으로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과 같은 순수 학문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대학으로서 특히 인문학과 사회과학에 강세를 보인다.

기준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QS30293741445149586261
ARWU636657617464647881-
THE79746671767887919276
USN & WR-827673778181869293
CWUR1231231291196577909194-


8.2. 영국 국내 대학평가[편집]


브리스톨 대학교는 영국 내에서 연구 실적과 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우수한 약 150여개의 대학 중에서 대체로 10위~20위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며 영국 내 최상위 대학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순위와 별개로 브리스톨 대학교는 영국의 우등생 대학 지원 선호도에서 매년마다 상위 10위권에 진입하는 대학이며 정원비 지원 경쟁률이 14:1로 영국에서 가장 높은 대학 중 하나로 손꼽힌다. 심지어 경제학과, 법학과 같은 인기가 높은 학과의 경우는 경쟁률이 40:1에 달할 정도. 이는 사실상 영국에서 우등생이라면 필수적으로 지원을 해 보는 대학이며 입학생들의 평균 대입시험 A-Level 점수는 무려 AAAA에 달한다.

또한 브리스톨 대학교는 영국 대학에서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음으로 높은 비율로 우등 졸업(Good Honours)을 하며 2010년 대학발전센터의 우수랭킹 조사에서 모든 학부가 최우수(Excellent) 등급 판정을 받은 단 4개의 대학[8] 중 하나이다.



8.3. 엘리트주의[편집]


무엇보다 브리스톨 대학교는 잉글랜드 내 대학 중에서 영국의 명문 사립 고등학교인 퍼블릭 스쿨을 다니는 부유층 자제들이 주로 선호하는 종합대학 중 하나로 알려져 엘리트주의 대학교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전체 학생 중 퍼블릭 스쿨 출신 부유층 학생은 약 34.1% 정도이다. 이들 중 대다수가 백인들이며, 더 나아가 대학 전체 학생만 봐도 백인 비율이 72%에 육박한다.

브리스톨 대학교는 2015년 Great British Class Survey에서 영국 사회에서 엘리트층을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는 대학교 6위에 선정되었고, 2017년 Longitudinal Education Outcomes에서 학부생 졸업 후 3년 내 고소득 직종 취업자 배출 5위를 기록했다. 그중 경제학행정학, 수리과학, 컴퓨터과학, 수의학, 그리고 역사학고고학 분야에서 고소득 직종 취업 강세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2022년 Graduate Market에서 영국 대기업이 선호하는 대학 중에서 전체 3위를 차지했다.

현재도 여전히 엘리트적인 이미지가 강하지만 과거에는 그 이미지가 매우 심했다. 심지어 서민을 배제한다는 이유로 심심치 않게 비판받던 학교였다. 특히 2002년 당시 재학생 가운데 무려 41%가 영국의 퍼블릭 스쿨 출신 부유층 학생이었는데, 이는 옥스브리지에 이어 영국 내 3위라는 수치였다. # 반대로 일반 공립학교 출신 서민 학생은 겨우 7%로 확실히 대비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학 측에서는 영국 현지의 공립 학교 출신 서민 학생의 입학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했으나... 여전히 입학 과정에서 학교 출신에 따라 고의적 차별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비록 대학 측에서는 그 어떠한 차별은 없었다고 해명한 뒤, 이후에도 여러 세부적인 정책을 발표해 그나마 사회 계층 간의 차이가 완화가 되었지만 여전히 지금도 퍼블릭 스쿨 출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과도하게 백인 엘리트들이 집중되어 있는 학생 분포 상황으로 인해 영국 내에서도 인종 및 사회적 계층 다양성이 매우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현재 대학 측도 이를 충분히 인지해 현재 공립학교 출신과 유학생들을 대대적으로 유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1:17:30에 나무위키 브리스톨 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호라티우스의 송가집 4권 중 4번 시에 등장하는 구절 'doctrina sed vim promovet insitam(그러나 가르침은 타고난 힘을 키우고)'에서 따온 것이다.[2] Chancellor. 영국 대학의 명목상 수장.
대학 운영에 관한 실질적인 권한은 부총장(Vice-Chancellor and President)에게 있다.
[3] Vice-Chancellor and President. 대학의 실질적 수장.[4] Visitor. 대학과 연계된 자치 성공회 기관 혹은 자치 자선 기관의 감독관으로 대학 내무에 관여할 수 있다.[5] University of Bristol Identity Guidelines 참고[6] 에든버러 대학교, 브리스톨 대학교, 더럼 대학교[7] Sporting colour. 영국아일랜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학 문화 중 하나로 뛰어난 대학 운동선수에게 공식 색깔을 부여하는 일종의 훈장이다.[8]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브리스톨, 맨체스터 대학교